LTV·DTI·DSR 연봉 6000·자녀 2명 한도 예시: 규정상 한도 vs 생활여유선

  • LTV·DTI·DSR 연봉 6000·자녀 2명 한도 예시를 보면, 규정상 가능액과 실제 생활여유가 다를 수 있습니다.

  • 대출은 보통 소득과 부채만 보지만, 육아비·교육비가 크면 월 납입을 무리 없이 유지할 안전선이 따로 생깁니다.

  • 아래에서 규정상 한도를 먼저 계산하고, 이어서 자녀 2명 지출을 반영한 생활여유선까지 같이 잡아봅니다.

기본 가정

  • 연봉 6,000만월 소득 500만(단순 환산)

  • 원리금균등 기준, 기간 30년(360개월)·40년(480개월) 비교

  • 연금현가계수(근사):

    • 30년: 5% 186.3 / 6% 166.8 / 7% 150.2

    • 40년: 6% 181.7

  • 용어:

    • 월 상환가능액(규정) = (월 소득 × 목표 DTI/DSR) − 기존 월 납입

    • 한도 = 월 상환가능액 × 계수

  • 참고: 실제 심사는 상품·소득 인정·지역·보유수에 따라 변동.

1) 규정상 한도 — LTV·DTI·DSR 연봉 6000·자녀 2명 한도 예시(자녀 지출 미반영)

목표 비율은 보수적으로 40% 가정, 기존 부채 0 → 월 상환가능액 200만.

  • 금리 5% · 30년

    • 한도 ≈ 200만 × 186.3 = 약 3.726억

  • 금리 6% · 30년

    • 한도 ≈ 200만 × 166.8 = 약 3.336억

  • 금리 7% · 30년

    • 한도 ≈ 200만 × 150.2 = 약 3.004억

  • 금리 6% · 40년

    • 한도 ≈ 200만 × 181.7 = 약 3.634억(한도↑, 총이자↑)

LTV가 더 타이트하면 최종 한도 = min(LTV, 위 한도).

2) 생활여유선 — 자녀 2명 지출을 반영한 현실 한도

  • 안전을 위해 생활고정비를 따로 빼고 계산:

    • 예시 지출(가족 4인, 보수적 추정):

      • 식비·교통·통신·보험 등 고정 150만

      • 육아·교육·보육(자녀 2명) 70만~120만 범위

    • 생활여유 가정: 230만~270만

  • 생활여유를 뺀 안전 월 납입 한계:

    • 안전 한계 = 월 소득 500만 − 생활여유

    • 예시1) 생활여유 250만 → 안전 한계 250만

    • 예시2) 생활여유 270만 → 안전 한계 230만

  • 규정상 목표 40%(200만)를 상회하면 목표 비율을 낮춰 잡는 방법:

    • 목표 35%(=175만) 또는 30%(=150만)로 스스로 상한 설정.

케이스 A — 생활여유 250만, 목표 비율 35%로 자율 제한

  • 규정상 35% = 175만, 기존부채 0 → 월 상환가능액 175만

  • 6% · 30년 → 한도 ≈ 175만 × 166.8 = 약 2.919억

케이스 B — 생활여유 270만, 목표 비율 30%로 자율 제한

  • 30% = 150만 → 6% · 30년 한도 ≈ 2.502억

  • 5% · 30년이면 ≈ 2.795억, 6% · 40년이면 ≈ 2.725억

인사이트

  • LTV·DTI·DSR 연봉 6000·자녀 2명 한도 예시에서, 규정상 3억대 초반이 가능해도 생활여유선을 적용하면 2억대 후반으로 낮추는 선택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.

3) 기존 부채가 있을 때(차 할부·마통 등)

기존 월 납입 30만이 있다고 가정 → 규정상 월 상환가능액 170만.

  • 6% · 30년 → 한도 ≈ 170만 × 166.8 = 약 2.836억

  • 생활여유 기준을 35%로 낮춘다면:

    • 35% = 175만 − 30만 = 145만 → 한도 ≈ 2.418억

4) LTV와의 교차 확인(담보 상한)

  • 감정가 6억, LTV 70% 가정 → 껍데기 한도 4.2억

  • 위 계산 한도 중 더 작은 값이 최종.

    • 예) 규정상 3.336억 vs LTV 4.2억 → 3.336억

    • 생활여유로 2.919억으로 자율 제한 시 → 2.919억 선택

5) 금리·기간 민감도(빠른 감각)

  • 금리 +1%p(5→6%)

    • 계수 186.3→166.8: 월 상환가능액 200만 기준 한도 약 0.39억 감소

  • 30→40년 연장(6%)

    • 계수 166.8→181.7: 한도 약 0.30억 증가(총이자↑)

  • 자녀지출 +20만

    • 실질 월 상환가능액 −20만 → 6%·30년 기준 한도 약 0.333억 감소

6) 한도를 넓히는 현실 레버

  • 우대금리 충족: 급여이체·자동이체·카드·적금 → 금리↓ → 한도↑

  • 부채 다이어트: 카드론·마통·차 할부 선정리 → 월 상환가능액↑

  • 기간·거치 설계: 40년·초기 거치로 월 납입↓(총이자↑는 감수)

  • 소득 합산: 배우자 공동 차주 인정 시 분모(연소득)↑

  • 생활비 구조조정: 보육 형태·보험 구조·구독/통신 묶음으로 생활여유 확보

체크리스트 — 실행 전 10분 점검

  • 규정상 한도(LTV, DTI/DSR)와 생활여유선둘 다 계산했는가

  • 금리 2~3개·30/40년 시나리오 비교

  • 기존 월 납입 최신화(마통 약정/사용, 카드론 포함)

  • 거치 종료·금리 상승 시 충격 테스트(+0.5~1.0%p)

  • 자녀 2명 필수 지출을 보수적으로 반영했는가

FAQ — 자주 묻는 것

  • Q. 자녀 지출은 DSR에 들어가나요?
    A. 직접 반영되지 않음. 다만 안전을 위해 자율 목표 비율(예: 30~35%)로 낮춰 현실 한도를 잡는 걸 권합니다.

  • Q. 40년이 정답인가요?
    A. 한도는 늘지만 총이자가 커집니다. 현금흐름·은퇴 시점과 함께 보세요.

  • Q. 변동금리가 낮아 보일 때는?
    A. 스트레스 금리를 더해도 월 납입이 버티는지 확인하세요.

결론 — 숫자 두 줄로 정리하자

  • 규정상: 월 소득 500만 × 40% − 기존 월 납입한도 계산

  • 현실상: 위 값에서 자녀 2명 생활여유를 뺀 자율 상한으로 재계산
    LTV·DTI·DSR 연봉 6000·자녀 2명 한도 예시를 이렇게 두 겹으로 잡으면, 오늘의 선택 범위가 선명해집니다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