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출에서 우대금리 적용하면 한도 변화가 크게 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. 금리가 내려가면 같은 원금이라도 월 납입이 줄고, 그만큼 DSR 여지가 넓어지기 때문이죠. 급여이체·자동이체·카드·적금 같은 간단한 조건을 맞추는 것만으로도 체감 차이가 큽니다. 이 글은 우대금리 적용하면 한도 변화를 공식과 숫자로 바로 대입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.
핵심 구조 — 금리↓ ⇒ 월 납입↓ ⇒ DSR 여지↑ ⇒ 한도↑
-
DSR 기본식
-
DSR = (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) ÷ (연소득)
-
-
월 상환가능액(목표 DSR 기준)
-
(월 소득 × 목표 DSR) − 기존 모든 대출의 월 납입
-
-
한도 역산(원리금균등 가정)
-
한도(PV) = 월 상환가능액 × {1 − (1+r)^(-n)} / r -
r=월 금리(연÷12),n=개월 수(30/40년 등)
-
-
포인트
-
금리
r이 내려가면 분모가 작아져 같은 월 상환가능액에서 한도(PV)가 커짐. -
동시에 같은 원금을 잡아도 월 납입이 줄어 DSR 분자가 감소.
-
우대금리 적용하면 한도 변화 — 손에 잡히는 5단계
-
1) 현재 조건 정리: 월 소득, 기존 대출 월 납입, 목표 DSR, 예정 금리·기간.
-
2) 우대 전 금리로 한도 계산: 위 공식으로 1차 추정.
-
3) 우대금리 가정: 예) −0.2%p, −0.3%p, −0.5%p 세 구간.
-
4) 각 금리로 재계산: 월 납입/한도 모두 비교.
-
5) 총비용까지 점검: 금리만 보지 말고 보증료·수수료·실행비용 포함.
시나리오 — 우대금리에 따른 한도 변화(참고치)
가정: 원리금균등, 기간 30년, 월 소득 600만, 목표 DSR 40%(= 240만), 기존 대출 월 40만 → 월 상환가능액 200만.
-
우대 전: 금리 6.0%
-
연금현가계수 ≈ 166.8 → 한도 ≈ 3.34억
-
-
우대 −0.3%p: 금리 5.7%
-
계수 ≈ 172.8 근사 → 한도 ≈ 3.46억(약 0.12억↑)
-
-
우대 −0.5%p: 금리 5.5%
-
계수 ≈ 176.1 근사 → 한도 ≈ 3.52억(우대 전 대비 약 0.18억↑)
-
-
우대 −1.0%p: 금리 5.0%
-
계수 ≈ 186.3 → 한도 ≈ 3.73억(우대 전 대비 약 0.39억↑)
-
읽는 법
우대금리 적용하면 한도 변화는 금리 인하 폭×기간에 비례해 커집니다.
같은 소득·DSR에서도 금리 −0.5%p만으로 수천만 차이가 발생합니다.
같은 한도라도 월 납입은 얼마나 줄나?
가정: 원금 3억 고정, 기간 30년.
-
6.0% → 5.5%
-
월 납입이 수만 원 단위로 감소 → DSR 분자↓ → 여유↑.
-
-
6.0% → 5.0%
-
월 납입 감소 폭이 더 커져, 추가대출 여지 또는 안전마진 확보.
-
(정확한 월 납입은 상품별 세부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계산기로 병행 확인 권장)
우대금리 항목 — 어디서 점수를 채울까
-
급여이체: 지정 계좌로 고정 입금.
-
자동이체: 공과금·통신비 등 다건 등록.
-
신용/체크카드 실적: 월 사용액 조건 충족.
-
적금/예금: 우대 연계 상품 가입.
-
대출 거래 실적: 우대팩 묶음 충족 시 추가 감면.
-
비대면·모바일 신청: 채널 우대가 붙는 경우 존재.
한도를 더 넓히는 보조 레버
-
기간·거치 설계: 30→40년, 초기 거치로 월 납입↓(총이자↑는 감수).
-
부분상환: 기존 고금리·소액 대출 정리 → DSR 분자 즉시↓.
-
소득 합산: 공동 차주 인정 시 분모↑ → 한도↑.
-
상환방식 선택: 한도 우선이면 원리금균등이 유리, 원금균등은 초기 납입↑로 한도↓ 경향.
빠른 체크리스트 — 실행 전 10분
-
우대 전·후 금리를 각각 넣어 한도/월 납입 비교.
-
우대 조건 유지 가능성(카드 실적·급여이체 지속) 점검.
-
스트레스 금리(+0.5~1.0%p)로도 DSR이 유지되는지 확인.
-
총비용(보증료·설정비·인지세)까지 합산해 실효 금리 비교.
-
사전한도 2~3곳으로 편차 체크.
FAQ — 우대금리 적용하면 한도 변화, 자주 묻는 말
-
Q. 우대 몇 가지만 채워도 효과가 큰가요?
A. 네. −0.3~−0.5%p만으로도 한도가 수천만 확대될 수 있습니다. -
Q. 변동금리일 때 우대 받으면 안전한가요?
A. 우대를 받아도 변동 리스크는 남습니다. 금리를 +0.5~1.0%p 올려도 DSR이 버티는지 보세요. -
Q. 우대가 끊기면 어떻게 되나요?
A. 약정 미충족 시 금리 원복 가능. 지속 충족 가능성을 먼저 확인하세요. -
Q. LTV가 더 타이트하면요?
A. 실제 상한은min(LTV, DSR 한도)이므로 LTV가 낮다면 그 값이 최종 상한입니다.
결론 — “우대금리 = 시간 대비 수익이 큰 레버”
우대금리 적용하면 한도 변화는 금리 인하가 월 납입과 DSR을 동시에 개선하기 때문에 큽니다. 우대 항목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기간·거치·부분상환을 조합하면, 오늘의 한도와 월 납입이 함께 정돈됩니다. 숫자는 성실하게 반응합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