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양을 잡아도 전매가 가능한지 모르면 일정이 꼬입니다. 그래서 전매 가능 단지 공고문 보는 법(핵심 항목)을 먼저 익혀야 합니다. 아래 체크리스트대로 보면 공고문 한 장만으로 전매 가능 단지 공고문 보는 법(핵심 항목)을 스스로 판정하고, 실수 없이 계약서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.
1) 공고문에서 가장 먼저 찾을 5가지
-
전매 제한 근거 문구: “전매 제한 ○년/○개월”처럼 기간·기준일이 명시된 부분을 원문 그대로 발췌.
-
기준일: 계약일/모집공고일/사용승인일 중 무엇을 기준으로 카운트하는지 확인.
-
거주의무: 전매 가능하더라도 거주의무 기간이 남으면 실처분일이 늦어짐.
-
우선매입·환수 조항: 지자체·공공이 우선매입 또는 시세차익 환수 권한을 가지는지.
-
예외·해제 조건: 혼인·전근 등 예외 전매 가능 사유, 해제 공고 시 즉시 반영되는지.
2) 지역·유형별로 달라지는 포인트
-
수도권: 상한제·특별공급·공공분양은 장기 전매 제한 + 거주의무 결합이 잦음.
-
지방: 지자체 고시에 따라 단기 제한·완화가 자주 발생.
-
공공 vs 민간: 공공은 우선매입·환수 문구를 꼭 확인, 민간은 특약으로 별도 제한이 들어갈 수 있음.
-
상한제 적용 단지: 실거주의무와 함께 가는지, 실거주 미이행 시 처분 제한/환수가 있는지.
3) 전매 가능 날짜 계산법(간단 공식)
-
전매 예정일 = 기준일 + 전매 제한 기간
-
실제 처분 가능일 = 전매 예정일 + 거주의무 잔여기간
-
예외 승인 시: 승인일 기준 별도 조건이 붙는지 문장으로 확인
계산 값은 메모에 “날짜(근거 문구 인용)” 형태로 남겨두면 분쟁 예방에 좋습니다.
4) 승계·대출과 바로 연결되는 항목
-
중도금 승계 허용 여부: “채무자 변경 가능/불가” 문구 존재 여부.
-
보증·은행 동의: 승계 가능해도 보증·은행 심사가 별도로 필요.
-
양수인 요건: 무주택·소득·자산 등 양수인 제한이 있는지.
-
옵션·발코니 처리: 분양가에 포함/별도 여부가 승계·정산에 직접 영향.
5) 전매 가능 단지 공고문 보는 법(핵심 항목) 체크리스트
-
전매 제한 문구: 기간/기준일 원문 인용
-
거주의무: 유/무 · 기간
-
우선매입/환수: 유/무 · 조건
-
예외 전매 사유: 사유·증빙·절차
-
해제 공고 반영: 지자체 공고 확인 경로
-
승계 가능: 보증·은행 동의 필요/불요
-
옵션·발코니: 포함/별도
-
실제 처분 가능일: 공식으로 계산
-
증빙 보관: 공고문·계약서·공문 스캔 보관
6) 공고문 문장 해석 팁(자주 헷갈리는 표현)
-
“전매 제한 기간 내 전매 불가” → 양도·증여·명의변경 모두 제한인지 주석 확인.
-
“거주의무 부과” → 전매 가능 문구가 있어도 실처분일은 거주의무 이후일 수 있음.
-
“예외 전매 가능” → 사유·증빙·승인 주체가 추가 문서로 규정되는지 확인.
-
“우선매입 가능” → 전매 직전 지자체 매입이 개입할 수 있음(가격 산정식 체크).
7) 서류·절차(전매 준비 시)
-
필수 서류: 전매 계약서, 분양계약서, 신분증, 실거래 신고 자료, 대출 승계 서류(해당 시).
-
신고: 실거래 신고는 총액(분양가·P·승계액)을 정산표와 동일하게 입력.
-
일정 캘린더: D−14/D−7/D−3 알림으로 승계 심사·전자서명 지연 방지.
FAQ
-
Q. 공고문만 보면 충분한가요?
-
A. 기본은 공고문이지만, 지자체 해제 공고·계약서 특약을 반드시 함께 확인하세요.
-
-
Q. 전매 가능해도 바로 팔 수 있나요?
-
A. 거주의무·우선매입이 남아 있으면 실제 처분은 늦어질 수 있습니다.
-
-
Q. 승계는 공고문에만 따르나요?
-
A. 아닙니다. 보증기관·은행의 별도 심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
마무리|핵심 한 줄
전매 가능 단지 공고문 보는 법(핵심 항목)은 전매 제한·기준일·거주의무·예외/해제·승계 다섯 축만 정확히 읽으면 끝입니다. 단지명과 공고문을 주시면 맞춤 체크 메모로 정리해 드릴게요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