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 계약에서 가장 빨리 묻는 건 복비죠. 전세 5천만/1억/2억 수수료 비교표만 손에 있으면 계산은 10초입니다. 원칙은 간단합니다. 거래금액(전세는 보증금)을 정하고, 상한표 이내 협의요율(r)을 곱하면 끝. 아래 예시는 표 대신 목록으로 정리했습니다.
계산 공식(전세 공통)
-
거래금액(전세) = 보증금
-
중개보수(세전) = 보증금 × r
-
r은 상한표 이내 협의요율(보통 0.3~0.5%대에서 결정)
반전세(월세 포함)는
보증금 + 월세×환산계수(관행 100)로 거래금액을 잡고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.
전세 5천만/1억/2억 수수료 비교표(목록형, 상한·협의 예시)
보증금 5천만
-
r=0.30% → 150,000원
-
r=0.40% → 200,000원
-
r=0.50% → 250,000원
보증금 1억
-
r=0.30% → 300,000원
-
r=0.40% → 400,000원
-
r=0.50% → 500,000원
보증금 2억
-
r=0.30% → 600,000원
-
r=0.40% → 800,000원
-
r=0.50% → 1,000,000원
한 줄 정리: “전세 5천만/1억/2억 수수료 비교표 = 보증금 × r”. 상한은 최대치일 뿐, 실제 보수는 그 이내에서 협의합니다.
반전세(월세 포함) 예시
-
보증금 1,000만 + 월세 60만, 환산계수 100
-
거래금액 = 10,000,000 + (600,000×100) = 70,000,000
-
r=0.35% → 245,000원 / r=0.40% → 280,000원
협상 팁(상한 이내)
-
난이도 근거 제시: 권리관계·하자 간단, 동일 단지 신속 계약 등.
-
패키지 의뢰: 이사 일정에 맞춰 전·월세 동시 중개 요청.
-
증빙 확정: 금액, r, 영수증 발행 여부를 문자로 남기기.
체크리스트(당일용)
-
상한표 구간 확인 후 목표 r 설정
-
보증금(반전세면 환산 포함)으로 거래금액 확정
-
보수 금액·영수증 발행 방식 합의
-
특약: 잔금 지연·계약 해제 시 정산 기준 명시
자주 묻는 질문
-
현금 결제면 더 싸지나요?
총액은 협의 문제입니다. 다만 증빙 없는 할인은 분쟁·세무 리스크가 큽니다. -
공동중개면 복비가 2배인가요?
내부 분배가 보통이라 총액만 확인하면 됩니다. -
부가세는 따로 붙나요?
청구·증빙 방식에 따라 표기만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 견적서에 ‘포함/별도’를 명확히 하세요.
마무리
전세 5천만/1억/2억 수수료 비교표는 결국 보증금 × r입니다. 상한표를 기준선으로 놓고, 근거를 들고 협의하면 숫자는 금방 정리됩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