월세 계약 총비용(보증금·수수료·인지세) — 오늘 바로 계산 끝내는 실전 가이드

계약 앞에서 머릿속이 복잡해지는 순간, 숫자를 한 줄로 세우면 마음이 가벼워집니다. 월세 계약 총비용(보증금·수수료·인지세) 는 결국 “보증금 + 복비 + 인지세(+α)”예요. 

이 글은 월세 계약 총비용(보증금·수수료·인지세) 를 바로 뽑도록 환산식과 예시를 손에 잡히게 풀었습니다. 읽는 동안 내 계약 조건에 대입해 보세요—그러면 글 끝에서 월세 계약 총비용(보증금·수수료·인지세) 가 이미 계산돼 있을 겁니다.

한 줄 공식(핵심)

  • 총비용 = 보증금 + 중개보수(복비) + 인지세 + 선택 부대비용

  • 복비는 거래금액 × 협의요율 r (상한표 이내에서 협의)

  • 거래금액 환산식(임대차 관행)
    거래금액 = 보증금 + (월세 × 환산계수)

    • 환산계수는 지역 고시·관행을 따르되, 실무에서는 100을 자주 사용

    • 예시 계산에선 100을 사용합니다(계약 전 중개사무소 고시 확인 권장)

단계별로 계산하기

1) 보증금

  • 계약서에 기재된 보증금 전액이 총비용에 바로 더해집니다.

  • 송금 스케줄(계약금/중도금/잔금)까지 미리 달력에 박아두세요.

2) 중개보수(복비)

  • 복비 = 거래금액 × r

    • r상한표 이내 협의요율(예: 0.3% = 0.003)

    • 상한표는 금액 구간별로 최대 요율·한도를 정해둡니다. 그 이내에서 협의가 원칙.

  • 복비 협의 팁

    • “서류 깔끔·하자 적음·동선 최소” 같은 업무 난이도 근거를 제시

    • 여러 매물 비교를 한 번에 맡겨 패키지 요율 제안

    • 영수증/세금계산서 발급을 전제로 깔끔하게 정리

3) 인지세

  • 임대차계약서는 계약금액 구간에 따라 정액의 인지세를 붙입니다.

  • 구간·금액은 고시로 업데이트되므로 계약 전 최신 구간표를 확인하세요(대개 수천~수만 원대).

4) 선택 부대비용(놓치기 쉬운 +α)

  • 확정일자 수수료, 열쇠/스마트키 교체

  • 이사/청소/도배·장판

  •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과 달리, 월세 보증(임차보증금 보증)을 선택할 경우 보증료

  • 고액 송금 수수료, 주차등록 비용 등

예시로 바로 감 잡기(환산계수 100, r=0.3/0.4/0.5% 비교)

내 조건에 맞춰 숫자만 바꾸면 됩니다.
복비 = (보증금 + 월세×100) × r

케이스 A|보증금 1,000만 / 월세 80만

  • 거래금액 = 10,000,000 + (800,000×100) = 90,000,000

  • r=0.3% → 복비 270,000원
    r=0.4% → 360,000원
    r=0.5% → 450,000원

  • 총비용 = 보증금 10,000,000 + 복비 + 인지세(+α)

케이스 B|보증금 2,000만 / 월세 100만

  • 거래금액 = 20,000,000 + (1,000,000×100) = 120,000,000

  • r=0.3% → 360,000원 / r=0.4% → 480,000원 / r=0.5% → 600,000원

  • 총비용 = 20,000,000 + 복비 + 인지세(+α)

케이스 C|보증금 3,000만 / 월세 150만

  • 거래금액 = 30,000,000 + (1,500,000×100) = 180,000,000

  • r=0.3% → 540,000원 / r=0.4% → 720,000원 / r=0.5% → 900,000원

  • 총비용 = 30,000,000 + 복비 + 인지세(+α)

케이스 D|보증금 5,000만 / 월세 60만

  • 거래금액 = 50,000,000 + (600,000×100) = 110,000,000

  • r=0.3% → 330,000원 / r=0.4% → 440,000원 / r=0.5% → 550,000원

  • 총비용 = 50,000,000 + 복비 + 인지세(+α)

내 숫자로 30초 계산(메모용)

  1. 보증금 D, 월세 M, 환산계수 k(기본 100), 협의요율 r 정하기

  2. 거래금액 = D + (M × k)

  3. 복비 = 거래금액 × r

  4. 총비용 = D + 복비 + 인지세(+α)

체크리스트(계약 당일 점검)

  • 환산계수·요율 사전 합의(문자/카톡 기록)

  • 복비 금액·영수증/세금계산서 발급 방식 확정

  • 인지세 금액 구간 확인 및 스탬프 부착/전자납부

  • 확정일자·전입신고 일정 픽스

  • 특약(수리, 주차, 반려동물, 원상복구) 문구 점검

  • 관리비 항목(포함/제외)과 미납 정산 방식 확인

자주 묻는 질문

  • 복비는 무조건 상한 그대로 내나요?
    아니요. 상한 이내에서 협의합니다. 난이도·서비스 범위를 근거로 조정해 보세요.

  • 환산계수 100이 항상 맞나요?
    지역 고시·계약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 중개사무소의 적용 표준을 확인하세요.

  • 현금 결제하면 더 싸지나요?
    총액은 협의 문제지만, 영수증·세금계산서 정식 증빙을 받는 편이 안전합니다.

마무리

공식은 끝까지 단순합니다. 총비용 = 보증금 + (보증금+월세×환산계수)×r + 인지세(+α). 숫자는 담담하게, 협상은 또렷하게. 이 순서만 지키면 월세 계약 총비용(보증금·수수료·인지세) 가 망설임 없이 정리됩니다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