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값은 정해져도 등기비용은 흐릿하죠. 법무사 등기수수료 시세표(아파트 기준) 를 손에 쥐면 숫자가 또렷해집니다. 아래 범위는 현장 관행을 바탕으로 한 수수료(노무·서류·대행비) 중심 가늠치이고, 세금(등록면허세·지방교육세·지방소득세)과 인지세, 발급수수료는 별도로 붙습니다. 글 중간과 끝에도 법무사 등기수수료 시세표(아파트 기준) 포인트를 다시 짚어 드릴게요.
기본 원리 — 무엇이 수수료를 좌우하나
-
업무 난이도: 단순 매매 ↔ 대출 동시진행·공동명의·특약 다건.
-
건수: 소유권 이전 1건 + 근저당 1건처럼 건 단위로 누적.
-
지역·이동: 원거리 방문, 관할 이원화 시 실비 가산.
-
기한 압박: 잔금 당일 접수·야간/긴급 처리 시 가산되는 경우가 많음.
-
서류 준비 범위: 발급 대행, 전자등기 스캔·정리 포함 여부.
항목별 시세 범위(아파트 기준, 수수료만)
금액은 수수료 가늠치이며, 세금·인지·증지·발급비는 별도입니다.
표 대신 목록으로 정리합니다.
-
소유권 이전(매매·본등기)
-
단독명의·무대출: 20만~40만원대
-
공동명의·특약 다건: 30만~60만원대
-
-
근저당 설정(대출 포함)
-
1건 기준: 20만~40만원대
-
복수 금융기관/분할 설정: 각 5만~20만원 가산
-
-
근저당 말소
-
1건 기준: 5만~15만원대
-
동일 채권자 다건 말소: 건당 단가 인하 협상 가능
-
-
분양권 → 본등기
-
무대출: 20만~40만원대
-
대출 동시: 40만~60만원대
-
-
증여·상속 소유권 이전
-
단순 증여: 25만~50만원대
-
상속(공동상속·분할협의 포함): 40만~80만원대
-
-
주소·성명 변경, 정정 등 경정등기
-
단순 변경: 5만~15만원대
-
다건·증빙 난이도 높음: 10만~25만원대
-
-
공동명의 분할/지분 이전, 수권위임 등 특수
-
사안별 30만~80만원대(사전견적 필수)
-
세금·실비는 이렇게 별도 계산
-
등록면허세 묶음(등기 세액): 과세표준(보통 실거래가) × 0.26%(0.2% + 부가 30%).
-
근저당 세액: 채권최고액(대출액 × 1.1~1.2) × 0.26%.
-
인지세: 계약금액 구간별 정액.
-
발급·수수료: 등기수수료, 등·초본·인감, 우편·교통비 등 수만원+α.
예시로 보는 총비용 구조(세금+수수료 분리)
가정: 아파트 단독명의, 전자등기, 발급비 소액, 수수료는 중간값 가정.
-
케이스 A|매매 5억, 무대출
-
등기 세액: 5억 × 0.26% = 130만원
-
법무사 수수료(소유권 이전): 30만원 내외
-
인지·발급·수수료: 수만원+α
-
합계(대략): 160만원대 + α
-
-
케이스 B|매매 8억, 대출 4억(배수 1.2)
-
소유권 이전 세액: 208만원
-
근저당 세액: (4.8억 × 0.26%) = 124.8만원
-
수수료: 소유권 이전 35만원 내외 + 근저당 30만원 내외
-
기타 실비 +α
-
합계(대략): 397만~410만원대 + α
-
-
케이스 C|분양권 본등기 6억, 무대출
-
세액: 156만원
-
수수료: 30만~40만원대
-
실비 +α
-
합계(대략): 190만원대 + α
-
견적 잘 받는 요령(실전)
-
항목 분리 요청: 세금/수수료/실비를 줄 단위로.
-
건수 명확화: 소유권 이전 1건 + 근저당 1건 등 건별 표기.
-
전자등기 여부: 스캔·전자서명 포함인지 확인.
-
긴급·야간 가산 유무: 잔금 당일 접수·당일 말소 등.
-
사후 증빙: 영수증·세금계산서 필수.
-
패키지 협상: 매도·매수를 함께 의뢰하거나 말소+설정을 묶어 단가 인하 제안.
자주 묻는 질문(FAQ)
-
Q. 수수료가 왜 사무소마다 다르죠?
A. 난이도·건수·일정·대행 범위가 다르고, 실비 처리 방식이 달라서입니다. 법정세액은 동일, 수수료만 차이. -
Q. 셀프등기와 비교하면 얼마나 차이 나나요?
A. 단순 매매 기준으로 수십만 원 절감이 흔하지만, 대출·공동명의·마감 촉박이면 시간·리스크 비용이 더 큽니다. -
Q. 견적서에 ‘채권최고액’은 왜 들어가죠?
A. 근저당 세액·수수료 산정의 기준값이기 때문입니다(대출액 × 1.1~1.2). -
Q. 말소만 맡겨도 되나요?
A. 가능합니다. 보통 5만~15만원/건 수준이며, 다건 말소는 묶음 견적이 유리합니다.
체크리스트(계약 전 1분 점검)
-
법무사 등기수수료 시세표(아파트 기준) 범위 확인
-
과세표준·대출·채권최고액 정리 → 세액(0.26%) 산출
-
건수(이전·설정·말소) 구분해 견적 요청
-
전자등기/방문 등기, 긴급 가산 여부 확인
-
영수증·세금계산서 발급 방식 합의
마무리
핵심은 분리 계산입니다. 세금(0.26% 라인) 과 수수료(업무 범위·건수) 를 나눠보면, 법무사 등기수수료 시세표(아파트 기준) 가 금세 읽힙니다. 시작은 대략치로, 확정은 견적서로—이렇게 가면 숫자가 흔들리지 않습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