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약서에 도장 찍기 전, 마지막으로 막히는 게 전세 보증보험료 포함 총비용 계산입니다. 보증금과 복비만 더하면 끝일 것 같지만, 인지세와 보증보험료가 붙으면서 숫자가 달라지죠.
이 글은 전세 보증보험료 포함 총비용 계산을 한 줄 공식으로 잡고, 보증기간·요율 변수를 끼워 넣는 법을 예시로 보여드립니다. 글 중간과 끝에도 다시 한 번 전세 보증보험료 포함 총비용 계산 포인트를 짚어 정리합니다.
한 줄 공식(전체 구조)
-
총비용 = 보증금 + 중개보수 + 인지세 + 전세 보증보험료 + 선택 부대비용(+α)
여기서 각 항목을 이렇게 구합니다.
1) 보증금(D)
-
계약서에 적힌 보증금 전액.
-
가계약→계약금→잔금 스케줄을 따로 메모해 두면 흐트러지지 않습니다.
2) 중개보수(복비)
-
복비 = 거래금액 × r
-
전세 거래금액 = 보증금(반전세는 보증금 + 월세×환산계수).
-
r은 상한표 이내 협의요율(예: 0.3%~0.5%).
-
-
예시
-
보증금 2억, r=0.4% → 800,000원
-
보증금 3억, r=0.35% → 1,050,000원
-
3) 인지세(계약서)
-
계약금액 구간별 정액으로 소액 부과.
-
전자계약/지자체 고시에 따라 구간이 다를 수 있으니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확인만 하면 됩니다.
4) 전세 보증보험료(핵심)
보증기관 산식은 공개 요율표를 바탕으로 보증금, 보증기간, 주택유형/보증한도, 임대인·임차인 신용 요인을 넣어 산정합니다. 실무에서는 아래처럼 범위형으로 빠르게 가늠합니다.
-
기본 구조(개념식)
-
보증보험료 = 보증금 × 보험요율(연) × 보증기간(년)
-
-
요율 감 잡기(범위 예시)
-
연 0.1%대 후반 ~ 0.3%대 중후반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음
-
전세금 규모가 크거나 기간이 길수록 총 보험료 증가
-
일부 할인/가산 요소(안심전세, 깡통위험 등급 등)로 변동 가능
-
견적은 최종적으로 기관 산출값으로 확정됩니다. 글에서는 계산법 이해를 위해 합리적인 범위 값으로 예시를 듭니다.
5) 예시로 바로 합산(보험요율 가정치 포함)
가정: 인지세는 +α, 환산계수는 순수 전세(월세 0), 보험요율은 보수/보통/우대 3단 시나리오.
케이스 A|보증금 1억, 기간 2년
-
복비 r=0.40% → 400,000원
-
보험요율(연) 0.20% / 0.25% / 0.30% 가정
-
보험료 = 100,000,000 × 요율 × 2
-
400,000 / 500,000 / 600,000원
-
-
총비용 = 100,000,000 + 400,000 + 인지(+α) + (400,000~600,000)
케이스 B|보증금 2억, 기간 2년
-
복비 r=0.35% → 700,000원
-
보험요율(연) 0.20% / 0.25% / 0.30%
-
보험료 = 200,000,000 × 요율 × 2
-
800,000 / 1,000,000 / 1,200,000원
-
-
총비용 = 200,000,000 + 700,000 + 인지(+α) + (800,000~1,200,000)
케이스 C|보증금 3억, 기간 2년
-
복비 r=0.35% → 1,050,000원
-
보험요율(연) 0.18% / 0.24% / 0.32%
-
보험료 = 300,000,000 × 요율 × 2
-
1,080,000 / 1,440,000 / 1,920,000원
-
-
총비용 = 300,000,000 + 1,050,000 + 인지(+α) + (1,080,000~1,920,000)
케이스 D|보증금 3억, 기간 1년(중도 갱신형)
-
복비 r=0.30% → 900,000원
-
보험요율(연) 0.22% / 0.28%
-
보험료 = 300,000,000 × 요율 × 1
-
660,000 / 840,000원
-
-
총비용 = 300,000,000 + 900,000 + 인지(+α) + (660,000~840,000)
포인트: 기간(년수) 를 절반으로 줄이면 보증보험료도 대체로 비례 감소합니다(최소·최대 한도나 기본료가 있으면 다소 차이).
6) 반전세(월세 포함)일 때
-
거래금액(복비용) = 보증금 + 월세×환산계수(관행 100 사용이 잦음)
-
보증보험료는 보증금 기준으로 산정하되, 월세보증을 함께 들면 별도 요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
7) 숨은 변수(+α) 체크
-
전입·확정일자 비용(소액)
-
열쇠 교체, 이사/청소, 도배·장판 등 입주비
-
송금 수수료(고액)
-
보증기관 심사 결과에 따른 요율 가감/특약 추가
8) 30초 셀프 계산 메모
-
보증금 D, 복비요율 r, 보험요율 y, 기간 t(년) 준비
-
복비 =
D × r -
보증보험료 =
D × y × t -
총비용 =
D + 복비 + 인지(+α) + 보증보험료
FAQ
-
보증보험료는 꼭 들어야 하나요?
전세금 리스크를 임대인 신용과 주택 담보력으로만 버티기 어렵다면 보험 가입이 안전판이 됩니다. -
요율은 누가 정하나요?
보증기관이 심사 기준으로 산정합니다. 동일 보증금이라도 기간·주택유형·위험등급에 따라 달라집니다. -
중도해지·이사 시 환불되나요?
약관에 따라 잔여기간 환급이 가능한 상품이 있습니다. 해지 수수료가 있을 수 있으니 약관을 확인하세요. -
임대인이 미등기/근저당 과다면?
심사에서 가산요율·가입제한이 생길 수 있어 사전 서류 확인이 필수입니다.
마무리
결론은 단순합니다.
전세 보증보험료 포함 총비용 계산 = 보증금 + (보증금×r) + 인지 +
(보증금×y×t).
숫자는 담담하게, 조건은 또렷하게. 요율과 기간만 정리하면 오늘 안에
전세 보증보험료 포함 총비용 계산이 깔끔하게 끝납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