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약은 시간 싸움입니다. 공고가 뜨면 곧장 부동산 특별공급 중위소득 기준표 빠른 구간 확인부터 해야 당락 감이 옵니다.
이 글은 가구원 수 확정 → 퍼센트 선택 → 세전·건보료 대조 → 보정 메모까지, 부동산 특별공급 중위소득 기준표 빠른 구간 확인만을 위해 필요한 순서만 적었습니다.
끝부분까지 읽으면 실전에서 바로 부동산 특별공급 중위소득 기준표 빠른 구간 확인이 가능합니다.
1) 시작 전 3가지 고정값
-
기준일: 모집공고가 적어준 날짜를 전 항목에 공통 적용.
-
가구원 수: 신청자+배우자+미성년 자녀(태아·출생아 반영 문구 확인).
-
판단방식: 세전 합산, 건강보험료 대조 중 공고 지시 우선(병행 시 둘 다).
2) 가구원 수별 ‘퍼센트’ 고르기
-
공고에서 요구하는 중위소득 ○○%를 찾는다.
-
맞벌이 특례 문구가 있으면 맞벌이 전용 퍼센트로 대조.
-
유형별로 퍼센트가 다를 수 있다(생애최초, 신혼, 다자녀 등 → 해당 유형 칸 선택).
3) 숫자 넣는 순서 — 표 없이 리스트로
-
세전 방식
-
근로: 급여명세서의 총급여를 월 기준으로 통일.
-
사업/프리랜서: 소득금액증명의 연 금액을 월환산.
-
기타소득: 공고 요구 시 포함.
-
→ 합산 값이 가구원 수×퍼센트 상한 이하인지 확인.
-
-
건보료 방식
-
직장: 본인부담 건강보험료만 사용(장기요양·회사부담 제외).
-
지역: 부과금액 사용.
-
혼합 가구: 직장 본인부담 + 지역 부과금액을 같은 기준월로 합산.
-
→ 공고의 보험료↔소득 구간표에 대입.
-
4) ‘빠른 구간 확인’ 체크리스트(즉시 적용)
-
가구원 수 확정 → 태아/출생아 증빙 여부 확인.
-
요구 퍼센트 선택(맞벌이 특례 여부 체크).
-
세전·건보료 기준월 동일화.
-
장기요양·회사부담 제외 확인.
-
세전 결과와 건보료 결과가 모순 없는지 교차 대조.
-
경계선이면 보정 메모 1쪽 작성(상여 몰림, 휴직, 이직, 겹치는 월).
5) 경계선 보정 메모 쓰는 법(짧고 정확하게)
-
제목:
중위소득 구간 판단 보정 메모 -
포함 요소
-
기준월/평균 기간(예: 최근 ○개월)
-
합산 방식(세전/건보료)
-
특이 이력(○월 상여, ○월 육아휴직, ○월 이직)
-
두 결과 요약(세전 월합계 ○○, 건보료 환산 ○○)
-
결론(가구원 수 ○인, 퍼센트 ○○% 구간 충족)
-
6) 자주 틀리는 포인트 9가지
-
가구원 수를 2인으로 계산하고 태아 반영을 놓침.
-
맞벌이 특례 문구가 없는데 임의로 맞벌이 퍼센트 적용.
-
기준월 혼재(세전은 최근 n개월, 건보료는 다른 달).
-
건강보험료에 장기요양·회사부담을 합산.
-
분양권·입주권·지분 보유를 누락하여 무주택 오판.
-
예치금 구간을 평형과 다르게 적용.
-
가입기간·납입회차 하루/한 번 부족.
-
전입일이 기준일을 하루 넘김.
-
보정 메모 없이 경계선 값을 그대로 제출.
7) 제출 서류 묶는 순서(심사자 친화)
-
표지 1쪽: 기준일·기준월, 가구원 수, 퍼센트, 판단방식(세전/건보료).
-
가구·거주: 주민등록표 등본(주소변동 포함), 가족·혼인관계증명서(상세), 전입세대 열람내역.
-
무주택: 등기부등본·말소사실·분양권/입주권 사실증명.
-
소득(세전): 원천징수·급여명세서·소득금액증명.
-
소득(건보료): 자격득실·납부확인(해당 개월만).
-
청약통장: 통장 사본·납입내역·예치금 증명.
-
보정 메모: 상여/휴직/이직/겹침월·태아 반영 요약.
FAQ — 바로 답하는 네 문장
-
퍼센트는 어디서 보나요? 모집공고의 중위소득 퍼센트 문구가 기준입니다.
-
세전과 건보료 중 무엇이 우선? 공고 지시 우선. 병행이면 같은 기준월로 맞춰 둘 다 제출.
-
맞벌이 특례는 언제? 공고에 맞벌이 상한이 별도 표기된 경우만.
-
연도 표시는요? 글은 연도 없이, 숫자는 공고 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.
마무리 — 한 문장만 기억
부동산 특별공급 중위소득 기준표 빠른 구간 확인은
가구원 수 확정 → 퍼센트 선택 → 세전·건보료 같은 달로 대조 → 보정 메모
이 네 칸으로 끝납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