빌라 취득세 등기비용 한 번에 계산 — 전용 85㎡·대출 여부·조정지역까지 깔끔 정리

집은 정했는데 숫자에서 막히죠. 그래서 빌라 취득세 등기비용 한 번에 계산할 수 있게, “가격 넣기 → 조건 체크 → 합계 뽑기” 흐름으로 정리했습니다. 

핵심 변수는 과세표준(실거래가 vs 공시가격 중 큰 값), 전용 85㎡, 주택 수·지역, 등기(등록면허세·수수료), 대출 유무. 이 네 가지만 차례대로 넣으면 빌라 취득세 등기비용 한 번에 계산이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. 

본문 중간과 끝에도 다시 한 번 빌라 취득세 등기비용 한 번에 계산 포인트를 되짚어 드릴게요.

계산 순서(빨리 보기)

  • 과세표준 정하기: 실거래가 vs 공시가격 중 큰 값

  • 주택 수·지역 확인: 1주택 일반 / 다주택 중과(조정·비조정)

  • 전용면적: 85㎡ 초과 여부(농어촌특별세 포인트)

  • 취득세 계산(주택 유상취득 기준)

    • 6억 이하: 1%

    • 6~9억: 구간식 세율세율(%) = 취득가(억) × 2/3 − 3

    • **9억 초과: 3%`

    • 지방교육세: 취득세의 10%

    • 농어촌특별세: 전용 85㎡ 초과 시 과세 / 85㎡ 이하는 비과세

  • 등기 비용(소유권 이전)

    • 등록면허세 0.2% × 과세표준

    • 지방교육세(등록면허세의 20%) + 지방소득세(등록면허세의 10%) → 총합 0.26%

    • 인지세·등기 수수료 + 법무사 보수(수십만 원 내외)

  • 대출 시(근저당 설정)

    • 채권최고액 = 대출액 × 1.1~1.2(관행)

    • 근저당 등록 실효세율 약 0.26% × 채권최고액 + 수수료·법무사 보수

1주택, 전용 85㎡ ‘이하’, 무대출 — 가격대별 감(빌라 대표 구간)

예시는 과세표준 = 실거래가 가정. 실제 납부 전엔 관할 고지서로 최종 확인이 필요합니다.

  • 2억

    • 취득세 1%: 2,000,000원

    • 지방교육세: 200,000원

    • 농특세: 0원

    • 등기(등록면허세 묶음 0.26%): 520,000원

    • 인지·수수료·법무사: 수십만 원대

    • 합계(대략): 2,720,000원 + α

  • 3억

    • 취득세: 3,000,000원

    • 지방교육세: 300,000원

    • 농특세: 0원

    • 등기 0.26%: 780,000원

    • 기타: 수십만 원대

    • 합계(대략): 4,080,000원 + α

  • 5억

    • 취득세: 5,000,000원

    • 지방교육세: 500,000원

    • 농특세: 0원

    • 등기 0.26%: 1,300,000원

    • 기타: 수십만 원대

    • 합계(대략): 6,800,000원 + α

전용 85㎡ ‘초과’라면(1주택)

  • 위 금액에 농어촌특별세(0.2%p) 추가

    • 예) 3억, 85㎡ 초과 → 농특세 600,000원 추가 → 합계(대략) 4,680,000원 + α

다주택·법인 중과(빌라도 동일 원리)

  • 조정대상지역: 2주택 8%, 3주택 이상 12%(본세 기준)

  • 비조정지역: 실무상 3주택 8%, 4주택 이상 12% 흐름이 잦음

  • 중과 구간은 지방교육세·농특세 산정 방식이 일반과 달라 고지서 기준으로 최종 확정

  • 간단 감 잡기

    • 2억, 조정 2주택: 본세 16,000,000원(8%) + 부가세목 → 1,600만 원대 + α

    • 3억, 조정 3주택: 본세 36,000,000원(12%) + 부가세목 → 3,600만 원대 + α

    • 여기에 등기 0.26%(+ 근저당 0.26%*)를 별도로 얹어 합산

대출(근저당) 포함 총비용 예시

  • 가정: 대출 1억 5천만 원, 채권최고액 1억 8천만 원(배수 1.2)

  • 근저당 등록 실효세율 0.26% × 1억 8천만 원 = 468,000원

  • 등기 수수료·법무사 보수 추가 → 대출이 있을수록 총비용이 수십만 원 더 상승

놓치기 쉬운 체크포인트

  • 과세표준은 계약가와 공시가격 중 큰 값

  • 전용 85㎡ 초과인지 확인(농특세)

  • 주택 수·지역으로 일반/중과 구분

  • 6억/6~9억/9억 초과 구간에 맞는 산식 적용

  • 지방교육세(취득세의 10%) 가산

  • 등기 0.26% + 인지·수수료 + 법무사

  • 대출 시 근저당 0.26%(채권최고액 기준) 추가

  • 마지막은 반드시 관할 고지서·전자납부 화면으로 검증

자주 묻는 질문(FAQ)

  • Q. ‘구간식 세율’이 뭔가요?
    A. 6~9억 구간에서 금액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세율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 8억은 약 2.333…%가 적용됩니다.

  • Q. 등록면허세를 왜 0.26%로 곱하나요?
    A. 기본세율 0.2%에 등록세 부가분(지방교육세 20%·지방소득세 10%)을 합산하면 0.2% × 1.3 = 0.26%가 됩니다.

  • Q. 인지세·법무사 비용은 고정인가요?
    A. 금액 구간·사무소·서류 난이도에 따라 수만원~수십만원+α로 달라집니다. 견적 확인이 안전합니다.

  • Q. 일시적 2주택이면 중과를 피할 수 있나요?
    A. 정해진 처분·전입 기한을 충족하면 1주택 과세 인정 사례가 있습니다. 본인 일정과 지역 조건을 먼저 정리하세요.

마무리

결국 공식은 단순합니다. 가격(과세표준), 전용 85㎡, 주택 수·지역, 등기·대출 여부. 네 가지를 차례대로 넣으면 빌라 취득세 등기비용 한 번에 계산이 끝납니다. 숫자를 먼저 가늠하고, 마지막은 고지서로 고정하세요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