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을 보러 가기 전, HF 전세대출 한도 계산기로 한도부터 잡으면 동선이 훨씬 단단해집니다. 핵심은 간단합니다. 전세대출의 월 이자(또는 추정 원리금)가 DSR 여유 안에 들어오면 가능, 넘어가면 구조를 손봐야 합니다. 이 글은 HF 전세대출 한도 계산기가 해주는 과정을 손으로도 끝낼 수 있게 풀고, 금리·기간·부채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시나리오로 보여드립니다. 읽고 나면 오늘 바로 HF 전세대출 한도 계산기 없이도 자신의 범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.
핵심 구조 — 보증(껍데기) vs DSR(실질)
-
보증 관점
-
전세보증금과 상품 규정에 따라 최대 보증 가능액이 정해짐.
-
-
DSR 관점
-
월 상환가능액 = (월 소득 × 목표 DSR) − 기존 모든 대출의 월 납입. -
전세대출이 이자만 납부면
월 이자 = 대출원금 × 금리 ÷ 12가 분자에 합산.
-
-
최종 한도
-
실제 가능한 금액 = min(보증 한도, DSR 허용 한도).
-
HF 전세대출 한도 계산기 없이 끝내는 6단계
-
1) 입력값 정리
-
전세보증금, 자기자본(현금), 월 소득, 기존 대출의 월 납입, 가정 금리, 거치/만기.
-
-
2) 보증 한도 가늠
-
전세보증금 × 상품 보증비율 → 껍데기 한도 메모.
-
-
3) 전세 월 납입 계산
-
이자만:
전세대출 예상원금 × 금리 ÷ 12. -
원리금: 명세서의 월 납입 또는 원리금균등 공식 활용.
-
-
4) DSR용 월 상환가능액 산출
-
(월 소득 × 목표 DSR) − 기존 월 납입 합계.
-
-
5) 가능 여부 판정
-
전세 월 납입 ≤ 월 상환가능액→ 가능. 초과 → 감액/구조조정.
-
-
6) 최종값 확정
-
min(보증 한도, 상환가능액이 허용하는 대출원금) 을 최종 기준으로.
-
빠른 역산 공식 — “내 월 소득으로 전세 몇 억?”
-
가능 전세대출 원금(이자만 가정)
-
원금 ≈ 월 상환가능액 × 12 ÷ 연 금리
-
-
예시(기존부채 0, 목표 DSR 40%)
-
월 소득 400만 → 상환가능액 160만
-
금리 5%: 약 3.84억 / 금리 6%: 약 3.20억
-
-
월 소득 600만 → 상환가능액 240만
-
금리 5%: 약 5.76억 / 금리 6%: 약 4.80억
-
-
해석
금리 1%p 상승만으로 가능한 원금이 크게 줄어듭니다.
기존 대출 월 납입이 20만 늘면 상환가능액이 동일하게 20만 줄어 원금도 선형적으로 감소합니다.
시나리오 — 손에 잡히는 3가지 케이스(참고치)
가정: 전세대출 이자만 납부. 목표 DSR 40%. 기타 조건은 케이스별 상이.
-
케이스 A: 월 소득 500만, 기존부채 없음, 금리 5%
-
상환가능액 200만 → 가능한 전세대출 원금 약 4.8억
-
전세보증금 5억, 자기자본 2천만이면 가능(여유 있음).
-
-
케이스 B: 월 소득 500만, 기존부채 월 30만, 금리 5%
-
상환가능액 170만 → 가능한 원금 약 4.08억
-
보증금 5억이면 자기자본을 늘리거나 금리 인하 필요.
-
-
케이스 C: 월 소득 600만, 기존부채 없음, 금리 6%
-
상환가능액 240만 → 가능한 원금 약 4.8억
-
금리 영향으로 케이스 A와 같은 원금 수준에 수렴.
-
원리금 상환·거치 변동 시 체크
-
거치 중(이자만) → 분자↓ → 여유↑.
-
거치 종료 → 월 납입↑ → DSR 재계산 필수.
-
원리금균등 전환 시 월 납입 공식
-
월 납입 ≈ 원금 × { r/12 ÷ [1 − (1+r/12)^(-n)] } -
같은 원금이라도 기간이 짧으면 월 납입이 커져 허용 한도가 급격히 줄 수 있음.
-
한도를 넓히는 실전 레버
-
부채 다이어트: 카드론·마통·차 할부부터 축소 → DSR 분자↓.
-
금리 낮추기: 우대조건(급여이체·자동이체·카드·적금 등) 충족, 상품 비교.
-
자기자본 확대: 필요한 전세대출 원금을 직접 감액.
-
기간 설계: 잔금대출 전환 시 30/40년, 거치 도입으로 초기 현금흐름 안정(총이자↑는 감수).
-
소득 합산: 공동 차주 요건 충족 시 분모(연소득) 확대.
-
사전한도 다기관 비교: 내부 산정 로직·가산금리 차이로 결과 편차가 큼.
체크리스트 — 신청 직전 10분 점검
-
전세보증금·자기자본 숫자 재확인.
-
월 소득·기존 월 납입을 동일 기준으로 정리(세전/세후 혼용 금지).
-
금리 2~3개 시나리오로 상환가능액 대비 여유 확인.
-
거치 종료 후 월 납입 변화 시뮬레이션.
-
보증 한도 vs DSR 한도 중 더 작은 값을 기준으로 매물가 조정.
FAQ — HF 전세대출 한도 계산기, 자주 묻는 것
-
Q. 계산기는 꼭 필요한가요?
A. 위 6단계와 역산 공식만으로 대략치를 즉시 구할 수 있습니다. -
Q. 기존부채가 조금 있어도 큰가요?
A. 월 10만 증가만으로도 가능한 원금이 수천만 단위로 줄 수 있습니다. -
Q. 변동금리면 어떻게 보수적으로 보나요?
A. 금리를 +0.5~1.0%p 올려도 이자 ≤ 상환가능액인지 확인하세요. -
Q. 보증 한도가 넉넉하면 그 금액까지 다 되나요?
A. 아닙니다. DSR이 실질 상한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결론 — ‘이자 ≤ 상환가능액’이면 길이 열린다
HF 전세대출 한도 계산기의 본질은 간단합니다. 내 월 상환가능액 안에서 전세대출의 월 납입이 들어오면 가능, 아니면 구조를 바꾸면 됩니다. 소득·부채·금리·기간을 한 번에 정리해 보수적으로 시뮬레이션하면, 오늘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선명해집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