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으로 갚으면 늘 손해 봅니다. 총이자 절감 계산기(예시값 포함) 사용법을 익히면, 내 대출을 숫자로 바로 비교할 수 있어요.
금리가 같아도 총이자 절감 계산기(예시값 포함) 사용법대로 조기상환 타이밍을 넣어 보면 결과가 확 달라집니다.
이 글은 총이자 절감 계산기(예시값 포함) 사용법을 딱 필요한 순서로 안내합니다: 준비 → 입력 → 시나리오 비교 → 실행 루틴.
핵심만 먼저
-
1순위: 무해약금(전액·부분 조기상환 수수료 0%) 여부 확인
-
비교 단위: 총비용 = 총이자 + (수수료) + (부대비용)
-
계산기는 원금/금리/기간/상환방식/조기상환 타이밍만 정확히 넣으면 된다
준비물 체크(5가지)
-
현재 잔액(또는 대출원금)
-
연이율(우대 반영 후)
-
남은 기간/약정 기간
-
상환방식: 원리금균등 / 원금균등 / 만기일시 / 한도대출
-
조기상환 계획: 전액 상환 월, 월별 부분상환 금액
팁: 약관에서 “중도상환 수수료 없음/무해약금”과 부분상환 0% 문구를 분리 확인.
입력값 가이드 — 계산기 화면에서 이렇게 넣기
-
대출유형 선택: 분할상환(원리금/원금균등) 또는 만기일시
-
기본값 입력: 원금(또는 잔액), 연이율, 약정/남은 기간
-
조기상환 옵션
-
전액 조기상환: 상환할 월 지정
-
부분 조기상환: 매월 추가 상환 금액과 시작 월 입력
-
-
수수료/부대비용 필드
-
무해약금이면 0으로 두고, 아니면
상환금액 × 수수료율 × (잔여기간/약정기간)
을 반영
-
-
결과 비교 보기
-
“유지 시 총이자” vs “조기상환 시 총이자”를 나란히 확인
-
필요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저장해 비교
-
예시값(직관용) — 바로 따라 해보기
단순 비교용 수치입니다. 실제 앱/상품에서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요.
예시 1: 원리금균등 + 전액 조기상환
-
조건: 원금 1,500만, 연 7, 약정 24개월, 12개월 차 전액 상환, 무해약금
-
계산기 입력
-
기본: 1,500만 / 7 / 24 / 원리금균등
-
조기상환: 12개월 차 전액
-
수수료: 0
-
-
결과 해석
-
유지 총이자(24개월) 대비 절감액이 큽니다.
-
전액 타이밍을 10개월/12개월/15개월로 바꿔 최적 시점을 찾기.
-
예시 2: 원리금균등 + 월 20만 부분상환(무해약금)
-
조건: 잔액 2,000만, 연 6, 남은 18개월, 다음 달부터 월 20만 추가 상환
-
입력: 2,000만 / 6 / 18 / 원리금균등 / 부분상환 월 20만 시작월 1
-
결과 해석
-
다음 달부터 잔액 모수 하락 → 남은 총이자 빠르게 감소
-
같은 총액을 한 번에 내는 것보다 현금흐름 유지 + 누적 절감 장점
-
예시 3: 만기일시 + 전액 상환 타이밍 비교
-
조건: 잔액 1,200만, 연 8, 만기일시
-
간이 가늠:
예상 이자 ≈ 잔액 × 0.08 × (사용개월/12)
-
6개월 사용 → 약 48만
-
3개월 사용 → 약 24만
-
-
포인트: 사용 기간이 곧 비용. 계획이 끝났다면 빨리 정리할수록 유리.
상환방식별 해석 포인트
-
원리금균등: 초반 이자 비중이 커서 초기 조기상환 효과가 큼
-
원금균등: 월 부담이 크지만 총이자 합계는 낮아지기 쉬움(루틴과 궁합 최고)
-
만기일시/한도대출: 일할이자 구조 → 입금 타이밍 자체가 절감
자주 하는 실수와 회피법
-
전액만 0%, 부분은 유료: 루틴형이면 손해. 약관에서 부분 0%까지 확인
-
기간을 남은 기간 대신 약정 전체로 입력: 결과 왜곡 → 남은 기간 기준 재입력
-
우대금리 맞추려 억지 소비: 총비용을 올립니다. 이미 하는 행동으로 충족되는 우대만
실행 루틴(현실적으로 지속하기)
-
월 1회 고정 부분상환: 급여/정산일 +1일 자동이체(10만~30만)
-
수시 소액 상환: 여유 생기면 즉시(무해약금 전제)
-
분기 1회 재시뮬레이션: 최신 잔액 반영해 최적 타이밍 갱신
-
알림 3종: 납부일 전일/당일, 잔액·이자 변동
체크리스트
-
무해약금(전액·부분 0%) 확인, 기간 제한 없음
-
원금/금리/남은 기간/상환방식 정확 입력
-
전액·부분 조기상환 두 시나리오 모두 계산
-
결과는 총비용(총이자 + 수수료 + 부대비용) 기준으로 비교
-
실행 후 루틴 유지(자동이체·알림)
FAQ
-
금리가 더 낮은데 수수료가 있는 상품 vs 약간 높은 무해약금?
-
조기상환 계획이 있으면 대개 무해약금이 유리. 계산기로 둘 다 돌려 총비용으로 결정.
-
-
부분상환은 얼마나 자주?
-
잦을수록 좋지만 번아웃 금지. 월 1회 고정 + 수시 소액이 현실적.
-
-
한도대출(마이너스형)도 계산 가능한가?
-
가능. 핵심은 “평균 사용잔액 × 사용일수”를 보수적으로 넣는 것.
-
결론
정답은 숫자에 있습니다. 총이자 절감 계산기(예시값 포함) 사용법대로 입력하고, 전액/부분 조기상환을 총비용으로 비교하세요. 무해약금을 전제로 루틴만 붙이면, 체감 금리는 계속 내려갑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