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환을 할 때 잠깐 숨 고르려고 거치기간을 넣고 싶을 때가 있죠.
문제는 대환대출 거치기간 설정이 총이자에 미치는 영향 간단 계산을 해보면, 월 부담은 줄어도 전체 비용이 늘기 쉽다는 것.
거치기간 동안 원금을 안 줄이면 평균잔액이 크게 유지되고, 그만큼 이자가 더 붙습니다.
이 글은 대환대출 거치기간 설정이 총이자에 미치는 영향 간단 계산을 정밀 공식과 엑셀 수식으로 바로 돌려볼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.
결론은 간단합니다. “지금의 숨”이 필요한지, “전체 비용”을 줄이는 게 맞는지 숫자로 고르기.
-
서론 직후(첫 스크롤 정지 지점), 반응형 권장
-
문단 전후 한 줄 여백
핵심 개념 한눈에
-
거치기간은 이자만 납부하고 원금 상환을 미루는 기간이다.
-
거치기간이 길수록 **평균잔액 ↑ → 총이자 ↑**가 기본 흐름이다.
-
예외는 단기 현금흐름 방어가 절대적이거나, 거치 덕분에 연체·수수료를 피해서 전체 손익이 오히려 좋아지는 특수 케이스뿐.
정밀 계산
입력: 원금(P), 연금리(연%), 전체기간(N개월), 거치기간(G개월), 월이자율 r=연/12
-
거치 없음(즉시 상환)
-
월납입액 A₀ =
PMT(r, N, P) -
총이자 TI₀ =
(A₀ × N) − P
-
-
거치 포함(이자만 G개월 + 남은 기간 상환)
-
거치 이자 =
P × r × G -
거치 후 월납입액 A₁ =
PMT(r, N−G, P) -
거치 포함 총이자 TIg =
거치 이자 + (A₁ × (N−G) − P)
-
-
거치로 인해 늘어난 총이자
-
ΔTI =
TIg − TI₀→ 양수면 거치로 비용 증가
-
초간단 근사(1분 계산)
-
대략치 이자증가 ≈
P × r × G − (첫 G개월 동안 줄였을 원금 합계 × r의 효과) -
실무 팁: 귀찮으면 ΔTI ≈ P × r × (G × 0.8) 로 보수 추정(원리금균등의 초반 원금상환을 일부 반영).
-
판단 기준
-
ΔTI가 작고, 거치가 현금흐름 리스크를 해소하면 채택.
-
ΔTI가 크면, 거치 대신 기간 미세 조정/혼합형을 고려.
-
엑셀·시트 수식(바로 붙여쓰기)
-
r(월이자율) =
연금리/12/100 -
A₀ =
=PMT(r, N, -P) -
TI₀ =
=PMT(r, N, -P)*N - P -
거치 이자 =
=P*r*G -
A₁ =
=PMT(r, N-G, -P) -
TIg =
=P*r*G + (PMT(r, N-G, -P)*(N-G) - P) -
ΔTI =
=TIg - TI₀
원금균등을 쓰면 월납입액은
=P/N + P잔액*r식으로 달라집니다. 그래도 위 로직(거치 이자 + 남은 기간 총이자 − P) 그대로 적용하면 됩니다.
사례 가이드(숫자만 넣어보세요)
-
케이스 A | 단기 거치(1~3개월)
-
목적: 이사/시즌성 지출 대응.
-
체크: ΔTI가 소액이면 OK. 거치 종료 후 월납입액 급증 대비.
-
-
케이스 B | 중기 거치(6~12개월)
-
목적: 소득 회복 대기.
-
체크: ΔTI가 커지기 쉬움 → 기간 연장이나 혼합형 대안과 손익 비교.
-
-
케이스 C | 장기 거치(12개월↑)
-
목적: 드묾.
-
체크: 총이자 급증 위험. 대신 대환+거치 최소화 조합 검토.
-
-
계산 블록 바로 아래(스크롤 멈춤 지점), 반응형 또는 336×280
-
주변 한 줄 여백
거치 vs 대환 vs 기간조정, 선택 순서
-
-
대환으로 금리 자체를 낮출 수 있는지 확인
-
-
-
월부담이 여전히 크면 기간 조정(월 상환액 완만하게)
-
-
-
그래도 필요하면 거치 최소화(G를 짧게)
-
-
-
변동 불안하면 혼합형/상한형으로 월납입 변동을 제한
-
실패를 부르는 흔한 실수
-
거치가 끝난 뒤 월납입 급증을 예산에 반영하지 않음
-
거치와 동시에 우대조건(급여·카드·자동이체) 누락 → 실금리 상승
-
실행일/첫 납부일을 겹치게 잡아 임시이자·이중이자 발생
-
ΔTI를 숫자로 보지 않고 감으로 결정
복사용 체크리스트
-
같은 기간·상환방식·금리유형으로 비교했다
-
거치개월(G), 월이자율(r)을 정확히 입력했다
-
ΔTI(늘어난 총이자)를 계산했다
-
거치 종료 후 월납입액(A₁)을 예산에 반영했다
-
우대조건 유지와 실행일/첫 납부일을 점검했다
-
거치 대신 기간 조정/혼합형 대안도 비교했다
FAQ
-
Q. 거치기간을 넣으면 신용도에 불리한가요?
-
직접적인 불이익보다 총이자 증가가 핵심 리스크입니다.
-
-
Q. 변동금리에서 거치가 특히 위험한가요?
-
가능. 거치 동안 금리 상승 시 이자만 늘어남. 상단 캡 또는 혼합형을 검토하세요.
-
-
Q. 거치가 꼭 필요하면 최적 길이는?
-
가장 짧게. ΔTI가 의미 있게 작아지는 지점까지만 설정하세요.
-
결론|거치는 “숨”이고, 숫자는 “대가”다
현금흐름이 급하면 거치는 유용합니다. 하지만 대환대출 거치기간 설정이 총이자에 미치는 영향 간단 계산을 해보면, 그 숨의 대가가 숫자로 보입니다. ΔTI가 작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면 채택, 아니라면 기간 조정·혼합형·대환으로 우회하세요. 답은 계산 안에 있습니다.
해시태그
-
#대환대출
-
#거치기간
-
#총이자
-
#원리금균등
-
#엑셀계산
-
#현금흐름
-
#혼합형대출
-
#상환전략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