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환대출 만기 연장 vs 대환 손익 엑셀 표(샘플 제공) | 1분 순이익 비교 템플릿

월 부담을 낮추자니 만기 연장이 편하고, 총이자를 줄이자니 대환이 끌립니다. 

답은 간단해요. 대환대출 만기 연장 vs 대환 손익 엑셀 표(샘플 제공) 템플릿에 숫자만 넣고 순이익이 큰 쪽을 고르면 끝. 

표면 금리 대신 실납부액=이자+수수료+인지세−우대/캐시백으로 비교해야 오판을 막습니다.

  • 서론 아래 첫 단락 후 배치(반응형 권장)

  • 위아래 여백 1줄

개념 정리|만기 연장 vs 대환, 관건은 ‘총비용’

  • 만기 연장(같은 금융사 유지)

    • 장점: 절차 간단, 보통 큰 수수료 없음(연장 수수료 있을 수 있음).

    • 단점: 기간이 늘면 총이자 증가 가능, 금리 인하 폭 제한적.

  • 대환(다른 금융사 이동)

    • 장점: 금리/조건 대폭 개선 가능.

    • 단점: 중도상환수수료·인지세·설정/말소 등 부대비용 발생.

비교 프레임(핵심 공식)

  • 월이자율 r = 연이자율/12

  • 원리금균등 월납입액: =PMT(r, n, -잔액)

  • 총이자(잔여/신규): =월납입액*n - 잔액

  • 대환 총비용: 중도상환수수료 + 인지세 + 기타비용 - 캐시백

  • 시나리오 A(만기 연장) 총지출: 연장 총이자 + 연장 관련 수수료(있으면)

  • 시나리오 B(대환) 총지출: 신규 총이자 + 대환 총비용

  • 순이익(대환 대비): 시나리오 A 총지출 - 시나리오 B 총지출양수면 대환 유리, 음수면 만기 연장 유리

빠른 비교용 근사치: 이자절감 ≈ (기존금리−신규금리)×(잔액의 절반)×(개월÷12)

엑셀 표(샘플 제공)|복붙해서 바로 쓰는 입력·계산 블록

표 대신 목록형으로 구성했습니다. 뒤의 수식은 엑셀/스프레드시트에서 그대로 사용하세요.

  • 입력 블록

    • 잔액(B2): _____

    • 남은개월(B3): _____

    • 현재금리(B4, 연%): _____

    • 연장금리(B5, 연%): _____

    • 연장기간(B6, 개월): _____

    • 신규금리(B7, 연%): _____

    • 신규기간(B8, 개월): _____

    • 중도상환수수료(B9): _____

    • 인지세(B10): _____

    • 기타비용(B11): _____

    • 캐시백(B12): _____

  • 계산 블록(공식)

    • 현재 r: =B4/12/100

    • 연장 r: =B5/12/100

    • 신규 r: =B7/12/100

    • 현재 월납입액(참고): =PMT(B4/12/100, B3, -B2)

    • 연장 월납입액: =PMT(B5/12/100, B6, -B2)

    • 연장 총이자: =PMT(B5/12/100, B6, -B2)*B6 - B2

    • 신규 월납입액(대환): =PMT(B7/12/100, B8, -B2)

    • 신규 총이자: =PMT(B7/12/100, B8, -B2)*B8 - B2

    • 대환 총비용: =B9 + B10 + B11 - B12

    • 시나리오 A 총지출(연장): =연장 총이자 (연장 수수료가 있으면 더하기)

    • 시나리오 B 총지출(대환): =신규 총이자 + 대환 총비용

    • 순이익(대환 유불리): =시나리오 A 총지출 - 시나리오 B 총지출

  • 결과 해석

    • 순이익이 0보다 크면 대환이 더 유리.

    • 순이익이 0보다 작으면 만기 연장이 유리.

    • 근소하면 기간/우대조건/실행일을 미세 조정해 재계산.

샘플 값 넣어보기(수치만 교체)

  • 케이스명: 월 부담 Down vs 총이자 Down

    • 잔액: 30,000,000 / 남은개월: 24

    • 현재금리: 8.5 / 연장금리: 8.2 / 연장기간: 36

    • 신규금리: 7.4 / 신규기간: 36

    • 중도상환수수료: 80,000 / 인지세: 40,000 / 기타비용: 20,000 / 캐시백: 0

    • → 위 계산 블록이 자동으로 월납입액·총이자·순이익을 출력

팁: 월 부담을 낮추려면 기간을, 총이자를 줄이려면 금리를 우선 조정하세요. 둘 다 잡고 싶으면 혼합형/상한형도 검토.

  • 계산 블록 바로 아래 배치(스크롤 멈춤 구간)

  • 반응형 또는 336×280 권장

실행 체크리스트

  • 같은 상환방식·기간 단위로 비교했다

  • 연장금리/신규금리를 실제 제시값으로 입력했다

  • 중도상환수수료·인지세·기타비용·캐시백을 모두 반영했다

  • 실행일을 기존 상환일 다음날로 잡아 이중이자 방지

  • 우대조건은 생활형 2~3개만 유지되게 설정했다

  • 순이익 기준으로 결론을 냈다(양수=대환, 음수=연장)

자주 묻는 질문

  • Q. 만기 연장 시 인지세가 항상 드나요?

    • 상품·기관마다 다릅니다. 연장 수수료/인지세 여부는 약관에서 확인하세요.

  • Q. 사전조회가 신용점수에 큰 영향이 있나요?

    • 사전조회 영향은 제한적이며, 실제 실행 시 신규대출 정보가 반영됩니다.

  • Q. 변동에서 고정으로 바꾸면 월납입액이 늘었는데 정상인가요?

    • 예측 가능성을 얻는 대신 초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. 총이자와 현금흐름을 함께 보세요.

결론|엑셀 한 장이 흔들림을 막는다

대환대출 만기 연장 vs 대환 손익 엑셀 표(샘플 제공) 템플릿으로 실납부액을 비교하면 감에 기대지 않아도 됩니다. 숫자가 말해요. 순이익이 더 큰 길로, 단호하게.

해시태그

  • #대환대출

  • #만기연장

  • #대환갈아타기

  • #엑셀템플릿

  • #순이익계산

  • #중도상환수수료

  • #인지세

  • #실납부액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