돈을 모을 때는 금리, 받을 때는 세금이 승부를 가릅니다.
그래서 오늘은 저축은행 고금리 연금상품 추천만 집중합니다.
검색을 반복해도 저축은행 고금리 연금상품 추천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호했다면, 이 글로 정리하세요.
핵심은 간단합니다. 금리는 저축은행에서, 세제는 연금계좌에서, 현금흐름은 월지급으로 설계하는 겁니다.
이 원칙을 따르면 저축은행 고금리 연금상품 추천의 방향이 분명해집니다.
먼저 오해 풀기: ‘저축은행=연금계좌’는 아니다
-
정의 정리
-
저축은행은 정기예금·적금 등 고금리 예금에 강점.
-
‘연금상품’은 보통 연금저축(증권/은행/보험), IRP, 비과세 연금보험을 뜻함.
-
결론: **금리 파트(저축은행)**와 **세제 파트(연금계좌)**를 조합해서 쓰는 것이 실전입니다.
-
2025 핵심 숫자(루틴에 먼저 고정)
-
세액공제 한도: 연금저축 600만 원, 연금계좌 합산(연금저축+IRP) 900만 원.
-
세액공제율(근로소득 기준): 16.5% 또는 13.2%.
-
총 납입 상한(세제우대): 연금저축+IRP 합산 연 1,800만 원(세액공제는 900까지).
-
수령 세율(사적연금 원천징수): 55
69세 5.5% / 7079세 4.4% / 80세~ 3.3%. -
연금수령한도: 한도 내 분할 시 위 저율 유지, 연금수령연차 11년차 이후 한도 없음.
-
ISA 만기 전환: 만기 후 60일 내 연금계좌 전환 시 전환금액 10%(최대 300만 원) 추가 한도.
-
예금자보호: 저축은행 예금은 1인당 1금융회사 5천만 원 한도까지 보호.
추천 조합 TOP3(실전 설계)
-
조합 ① 비과세 연금보험(세제비적격) + 저축은행 예금으로 납입 자금 관리
-
구조
-
연금보험은 약관을 충족하면 이자·차익 비과세(예: 월납 5년·10년 유지, 일시납 10년 등).
-
납입 재원은 저축은행 고금리 예금으로 모아두고, 분기·연말에 추가납입.
-
-
장점
-
금리와 비과세를 동시에 노림. 납입 중지·부분 인출 등 유니버설 옵션이 있는 상품도 선택 가능.
-
-
주의
-
비과세 요건(납입·유지기간·금액 상한) 미충족 시 과세 전환. 초기 사업비·해지공제 확인 필수.
-
-
-
조합 ② ISA 월지급식 + 저축은행 정기예금(계단형 만기) → ‘연금 모방’
-
구조
-
ISA 안에서 ETF·채권 중심으로 운용하고 월지급(SWP) 세팅.
-
외부에선 저축은행 예금을 만기 계단형(3·6·12·24개월 분산)으로 깔아 유동성 보강.
-
-
장점
-
세제 간단(ISA 비과세·저율 분리과세 체계) + 고금리 예금의 쿠션.
-
-
주의
-
ISA 의무기간을 충족해야 혜택 유지. 월지급액은 수익률 범위 내로 보수적으로 설정.
-
-
-
조합 ③ 연금저축 600 + IRP 300(세액공제) + 저축은행 예금으로 안전자산 비중 확대
-
구조
-
세액공제는 연금저축·IRP에서 확보, 수령 1~2년 전엔 저축은행 예금 비중을 늘려 변동성 완충.
-
-
장점
-
즉시 환급(세액공제) + 수령기 저율 과세 + 고금리 예금의 안정성.
-
-
주의
-
IRP는 위험자산 70% 한도, 법정 사유 외 중도인출 불가.
-
-
누가 무엇을 택할까(상황별 가이드)
-
현금흐름이 불안정한 프리랜서
-
ISA 월지급식 중심 + 저축은행 예금 계단형. 연말에 여유가 생기면 연금저축 일시보충으로 600 근접.
-
-
안정 선호 50대
-
비과세 연금보험 코어 + 저축은행 예금으로 납입 재원 관리. 수령 1~2년 전 안전자산 추가 상향.
-
-
맞벌이 가구
-
공제율 높은 쪽이 연금저축 600, 상대는 IRP 300. 비상자금은 저축은행 예금으로 분리.
-
예산별 자동납입 템플릿(바로 적용)
-
월 10만(입문)
-
연금저축 10만×12=120만 → 10~12월 480만 보충 → 600 달성.
-
-
월 20만(표준)
-
연금저축 15만×12=180만 + IRP 5만×12=60만 → 분기 보충으로 연 900 근접.
-
-
월 30만(탄탄)
-
연금저축 20만×12=240만 + IRP 10만×12=120만 → 상·하반기 270만×2 보충 → 연 900 완성.
-
체크리스트(가입·운용 전 꼭 보기)
-
비과세 연금보험
-
월 150만 이하 5년 납입·10년 유지(혹은 일시납 1억·10년 유지 등) 요건 확인.
-
사업비·해지공제 수치, 부분 인출 가능 여부 점검.
-
-
ISA
-
의무기간 충족, 전환 300(만기 후 60일 내 연금계좌 전환 시 추가 한도) 알림 설정.
-
-
연금저축/IRP
-
세액공제 한도 600/900, 원천징수 5.5/4.4/3.3, 연금수령연차 11년차 무제한 규칙 확인.
-
-
저축은행 예금
-
예금자보호 5천만 원 한도 내 분산, 만기 계단형으로 유동성 확보.
-
FAQ
-
Q. 저축은행 예금만으로 ‘연금’처럼 받을 수 있나요?
-
A. 만기를 계단형으로 설계해 월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지만, 세제 혜택은 없습니다. ISA 월지급식 또는 연금계좌와 조합하는 편이 유리합니다.
-
-
Q. 비과세 연금보험이 항상 유리한가요?
-
A. 장기 유지가 전제입니다. 중도해지·과도한 증액·구조 변경은 비과세 종료 위험이 있습니다.
-
-
Q. 금리 하락기엔 어떻게 바꿔야 하나요?
-
A. 고금리 예금은 만기 분산으로 롤오버, 연금계좌 내부는 채권 듀레이션을 조절해 변동성 관리.
-
결론과 실행
오늘의 순서입니다.-
(1) 금리는 저축은행 예금으로,
-
(2) 세제는 연금저축 600 → IRP 300으로,
-
(3) 유동성은 ISA 월지급식으로.